지난 2024년 11월, APT37 그룹이 특정 K 메신저의 단체 대화방에 두 가지 유형의 파일을 유포했습니다.
먼저 OLE가 포함된 HWP 파일을 전송한 뒤, 이어서 PowerShell 명령이 삽입된 LNK 파일을 압축 형태로 전달했습니다.
공격자는 스피어피싱 공격을 통해 단말에 침투한 후, 사용자의 PC용 K 메신저에 몰래 접근해 악성파일을 추가로 유포했습니다.
이처럼 2024년 한국을 대상으로 한 APT 공격에서 LNK 파일이 다수 식별되었으며, 하반기에는 HWP 파일을 이용한 공격도 빈번하게 포착되었습니다.
보통 위협 행위자는 초기 단말 침투에 성공하기 위해 주요 Anti-Virus 탐지를 회피하는 데 집중합니다.
따라서 EDR 시스템을 구축하고, 단말에 유입되는 각종 이벤트 수집과 더불어 조기 이상행위 탐지 보안정책 수립이 필요합니다.